Site Overlay

사진으로 보는 도시와 사람들(5): 후에

도시와 사람들(5)
Web Journal  31호 2024.9

한 달간의 베트남 도시를 관찰하여 베트남의 도시와 사람들에 대해 말하기는 어렵기에 베트남 리서치 일정 중 참여 관찰했던 장소들을 사진과 함께 짧은 설명으로 잔상을 나누고자 한다.

 

후에시(Thành Phố Huế, 城舖化)는 베트남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트어티엔후에성(Thừa Thiên-Huế, 承天-化)의 성도이다. 1802년부터 1945년까지는 베트남(응우옌 왕조)의 수도였다.

인구는 약 65만 명으로 중소도시지만 대한민국의 경주시나 일본의 교토시처럼 1802년부터 1945년까지는 베트남(응우옌 왕조)의 수도였던 곳으로, 많은 유적이 존재하는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도시다. 이 도시에 있는 후에성(Kinh thành Huế, 京城化)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베트남 사람들에게는 지명의 발음을 ‘훼’라고 해야 잘 알아듣는다. 실제 발음기호로 표기하면 [hwě]이며, 이는 ‘훼’라는 단음절의 발음과 가깝다. 음식문화는 후에만의 쌀국수인 분보훼(Bún bò Huế)가 유명하며, 과거 수도였던 곳이라 궁중 요리도 존재한다.

5세기 동안 황제적 권력과 애국적인 혁명의 발생지로, 베트남의 풍요로운 풍속과 치열한 전쟁에서의 고난을 목격해한 후에는 현대에도 베트남 중부에서 관광, 교육, 종교의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을 유지하고 있다.

웅랑(應陵)으로도 알려진 카이딘왕릉(Lăng Khải Định)은 응우옌 왕조(Nhà Nguyễn, 家阮)의 12대 황제인 카이딘 황제(1885~1925)의 능묘이다. 1916년, 식민 지배에 저항하던 선대 황제들이 베트남에서 추방된 후 프랑스 지배 세력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다. 국민들의 기대와는 다르게 프랑스편에 서서 국민들을 수탈하고 자신만 화려한 생활을 했던 황제로, 그의 유일한 업적은 바로 ‘카이딘 황제릉’이라는 비아냥이 있을만큼 지금까지 베트남 국민들의 미움을 사고 있다.

황제릉 내부의 건물과 탑들은 유럽에서 수입한 목재와 콘크리트를 사용해 만들었으며, 프랑스의 식민지 시절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유럽식 건축 양식이 가미되어 있는 황제릉으로 알려져 있다. 황제의 무덤이 있는 ‘계성전(啓成殿)’에는 금박을 입힌 동상이 있고, 내부는 도자기와 유리 조각으로 아름답게 장식되어 있어 후에 지역의 황제릉 중 가장 화려한 내부를 자랑한다.

안딩궁(Điện An Định)은 응우옌 왕조의 카이딘 황제가 왕좌에 오르기 전, 당시 최고의 건축가와 화가에게 의뢰해 1918년 건축한 개인 저택이다. 20세기 초 프랑스 네오클래식 스타일1에 베트남 전통미를 더한 화려한 외관이 서구의 여느 고급 저택 못지않다. 카이딘 황제 사후에는 후계자였던 바오다이 왕(Hoàng đế Bảo Đại)이 물려받아 1955년까지 그의 가족들과 함께 이곳에 머물렀다. 1차 세계대전과 공산주의 정부를 거치며 주 거주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기타 부속 건물들은 모두 붕괴되었다. 2000년대 들어 대대적인 보수 작업을 거치며 주 거주지는 지금의 모습으로 복구되었다. 2층 건물 내부에는 당시 왕족의 생활모습을 짐작케 하는 사진과 생활용품들, 가구들이 남아 있지만, 외관의 화려함에 비해 상당히 초라하다2.

후에의 고대 왕국 수도에 위치해 있는 후에 궁전 박물관(Huế Museum of Royal Fine Arts)은 베트남 고대 왕국의 과거와 그 시대의 예술을 보여주기 위해 만들 박물관이다.

후에 궁전 박물관으로 300점 이상의 응우옌 왕조의 유물과 황성에 살던 왕족들의 일상을 엿볼 수 있는 것들을 전시하고 있다. 이 박물관은 1923년에 설립된 후에에서 가장 오래된 박물관이며, 당시에는 카이딘 황제의 박물관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었다. 1927년 응우옌 왕조 왕실 칙령에 따라 참파 예술 부문도 전시되고 있다.

6,330㎡의 면적을 차지하는 본당은 1845년 티에우찌(Thiệu Trị, 紹治)왕 시절에 지어진 롱안궁(Điện Long An)이다. 이곳은 정교하게 조각된 128개의 기둥이 있는 철골목조 건축물로 내외부의 인테리어가 매우 섬세하고, 우아하게 장식되어 있다.

후에 황성(Hoàng thành Huế)은 1802년부터 1945년에 이르기까지 약 143년간 베트남을 통치했던 응우옌 왕조의 황궁 역할을 했던 곳이다. 13명의 왕들이 거주했던 곳으로, 응우옌 왕조의 2대 황제 ‘민망’의 통치하에 완공되었다. 중국과 프랑스의 건축 양식이 혼재되어 있어 세월의 상처와 흔적이 공존하는 후에 최고의 역사 유적지로 손꼽혔으며, 1993년 유적지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베트남 중부의 도시 후에에 있는 궁전으로, 1802년부터 1945년에 이르기까지 약 150여 년간 응우옌 왕조의 왕궁이었다. 인도차이나 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 베트남 전쟁을 거치면서 대부분의 건물들이 심각하게 파괴되었으며, 현재는 경복궁처럼 복원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전쟁 시절에 입었던 피해가 워낙 컸던 탓에 거의 대부분의 건물들이 다시 복원되지 못한 상태로, 현존하는 건물들은 옛 시절의 25% 정도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1993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거대하고 아름다운 건축 양식에 감탄을 하면서 보게 되면서 이런 생각이 든다. 수 많은 왕조들은 자신들의 삶이 영원히 이어질 것처럼 크고 화려하게 자신들의 성을 쌓지만, 그  성들은 유한한 시간 속에서 멸망하고 그저 관광상품로만 남아 있구나. 우리는 어디에 속해 있나? 사라져 가는 것에 있는가? 영원한 생명의 길에 있나?

천모(天母)로 알려진 노파로부터 사원 건립과 베트남 통일에 대한 계시를 들었다는 지방 호족 ‘응우옌 호앙(Nguyễn Hoàng, 阮潢)’이 1601년에 세운 사원이다. 후에에서 가장 큰 사원이며, 무려 200년 뒤에 나타난 통일 국가 응우옌 왕조의 출연을 예언한 곳이라고 한다. 입구로 들어서면 21m 높이의 ‘복연보탑(Tháp Phước Duyên)’을 볼 수 있는데, 복연탑은 1844년 티에우 찌(Thiệu Trị, 紹治) 황제 때 만들어졌다. 팔각형 탑에는 층마다 금동불상이 배치되어 있었으나 진품은 모두 도난당했다고 한다. 탑의 뒷면에 한자로 이 사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적혀 있다.

탑의 오른쪽엔 1725년에 만들어진 정자가 있으며, 청동거북 등위에 비석이 세워진 것이 유명하다. 탑을 뒤로하고 안으로 더 들어가면 절의 본당이 나온다. 본당 내부에는 폴란드 사람인 클로이스가 제작한 청동 불상이 있다.

티엔무사 안에는 작은 박물관이 있는데 1963년 당시 “응오 딘 지엠(Ngô Ðình Diệm)” 대통령의 불교 탄압 정책에 항의하고자, 틱꽝득(Thích Quảng Ðức, 釋廣德) 스님이 사이공(현 호찌민)까지 차를 타고 이동한 후에 남 베트남의 미국 대사관 앞에서 몸에 휘발유를 끼얻고 분신자살을 하였다. 이 모습의 신문기사와 그때 사용했던 오스틴 자동차가 진열되어 있다.

흐엉강(Sông Hương 또는 Hương Giang, 香江)은 베트남 중부의 투아티엔후에성(Thừa Thiên-Huế, 承天順化)에 있는 후에시를 가로지르는 강이다. 가을이 되면 후에 상류의 난초에서 떨어진 꽃잎이 강으로 떨어져, 향’향기’라는 뜻의 이름이다. 긴 강줄기를 따라 응우옌 왕조의 왕궁과 황제릉, 사원들이 늘어서 있고, 흐엉강을 따라 조성된 공원과 평화로운 강을 바라보며 산책을 즐길 수 있어 휴식을 취하기 좋다.

후에역 (Ga Huế)은 베트남 트어티엔후에성 후에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하노이와 호찌민을 잇는 남북선 상에 위치한 역이다. 남북선의 기점역 하노이 역에서 688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 역은 1906년 프랑스 건축양식으로 지어졌으며 후에 국립학교의 색상과 일치하도록 분홍색으로 칠한 베트남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차역 중 하나이다.

티엔무사원 방문 후 돌아가던 중 우연히 보게된 베트남의 결혼식장은 참석한 손님들을 대접하는 고급 와인과 호화로운 식사, 노래가 연주되어 즐거움과 흥이 가득한 분위기를 자아내었다.

후에서 본 베트남 결혼식장
후에 지역에 있는 천주교 성당(좌)과 개신교 교회(우)

사진으로 보는 도시와 사람들:후에    정리| 장영순(SIReNer)

위 자료의 저작권은 UPMA에 있으므로, 인용하여 사용하실 경우 반드시 출처를 남겨 주십시오. 

  1. 네오클래식(Neo-classic)은 신고전주의란 뜻을 품고 있는 것으로 고전만이 가지고 있는 무거운 느낌을 털어내고 그 자리에 현대 감각을 품어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부드러운 디자인, 우아한 라인이 네오클래식 인테리어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 출처: https://travel.naver.com/overseas/VNHUI12951151/poi/guide/article/6033306, 도서명: 베트남 셀프트래블, 제공처: 상상출판 홈페이지

디지털 저널
CA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