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Overlay

라오스 APG(Asean Power Grid)와 Saddle D 붕괴 사고

카스 디스커버리
D·I·G·I·T·A·L JOURNAL  2018. 12

붕괴사고가 난 라오스 댐(Saddle D)

지난 7월 24일 라오스 남동부 아타푸 주에 있는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소의 보조댐인 “Saddle D”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이 댐의 시공사가 한국의 SK건설이어서 더 이목을 끌었다. 라오스 정부는 이 사고로 131명이 실종되고 27명이 사망한 것으로 공식 발표하고 피해 지역을 긴급재난구역으로 선포했다. 그러나 외신들은 피해 규모가 이보다 훨씬 더 클 것으로 추산했으며, 이 사고에 대해 라오스 정부의 전력 수출에 대한 지나친 야심에 따른 예견된 참사라는 분석과 함께 동남아시아지역 수력 발전 사업에도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

필자는 이 사고 원인 규명에 대한 사안은 전문가들에게 맡기고, 이 사고를 둘러싸고 있는 라오스 정부의 수력발전사업과 이 사고 이후 현장의 상황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라오스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이 수력발전사업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10개국이 추진하고 있는 ‘아세안 파워 그리드(ASEAN Power Grid, 이하 APG)’ 사업의 일환이다. APG 사업은 1990년대에 제안되었으나 전력 수요 급증이 본격화된 2000년대 이후 탄력을 받아 추진되고 있다. 이는 ASEAN 각국의 전력망을 국경을 넘어 연결하는 국가 간 전력공유 계획이며, 예비전력에 여유가 있는 국가가 부족한 국가에 전력을 판매할 수 있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동남아 전력 시장을 통합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시작되었다.

APG 사업이 완성되면 인접국가 간의 전력 거래 뿐 아니라, 인접국가 전력망을 통해 원거리 국가까지 전력 거래가 가능해진다. 지난 2015년까지 제안된 전력망 연계 사업 16개 가운데 6개가 이미 완료된 상태되어 상호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차로 ‘인도차이나 북부’ – ‘말레이 반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 ‘보르네오 섬’ 등 3개 지역의 전력망을 통합하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최근 한창인 산업화에 필요한 엄청난 전력량에 비해 인프라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던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전력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새로운 도전이라 할 수 있다.

라오스 댐 붕괴 사고 이재민/출처: 시사IN(www.sisain.co.kr)

이 사업에 그 누구보다 더 적극적인 것이 바로 라오스이다. 그도 그럴 것은 지금까지 600만에 불과한 인구의 90%가 농업에 종사할 정도로 라오스의 산업구조는 낙후되어 있었다. 게다가 인도차이나 반도 유일의 내륙국가로서 국가 간 무역에도 불리한 입지를 가지고 있어 인접 태국이나 베트남에 경제적으로 상당 부분 의존되어 있다. 또한 90년대 이후 개방정책으로 자연과 종교적 수요의 관광 수입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가 차원의 기간산업이 부재한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 APG 사업은 당장의 집적된 특별한 기술이 없어도 매콩강 총 4,200km 중 절반에 가까운 1,898km 구간을 보유하고 있는 천혜의 자연조건을 활용해서 라오스가 주도적으로 국가 산업을 일으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인 것이다. 이에 라오스 정부는 2020년까지 총 28,000㎿의 발전용량과 연간 7,700만KWh의 전력생산을 갖춘 100개의 수력발전소를 건설, 운영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야말로 ‘아세안 배터리’를 자청하며 야심차게 수력발전 산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2020년까지 이제 채 2년도 남지 않은 시점에 100개의 수력발전소 건설 목표치 가운데 46개소만이 완료되었고 아직 54개소의 추가 건설 소요가 남아 있으며, 더 중요한 발전용량은 그보다 못 미치는 25%도 채 안 되는 정도만 개발된 상태라는 것이다. 게다가 라오스 정부는 1986년 라오스 시장이 개방된 이후 지금까지 약 65억 9000만 달러를 이 수력발전 사업에 투자하고 있는데, 이는 전체 투자금액 중 33.4%를 차지해 가장 많은 해외자본이 이 사업에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국가적으로 상당한 해외투자를 집중 유치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목표한 만큼의 수력발전소와 발전량을 준비하기에도 사실상 매우 버거운 상황으로 판단된다. 남은 기간은 부족한데 목표한 공사는 완료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기일을 맞추기 위해서 자칫 부실 공사 위험도 따르기 마련이고 일각에서는 이에 대한 경고성 여론도 있어왔는데, 그런 상황에서 마침 안타깝게도 댐 붕괴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라오스 댐 붕괴 사고 이재민/출처: 시사IN(www.sisain.co.kr)

라오스 정부 차원에서는 가뜩이나 사업 목표 차원에서 발 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에서 이 사고로 인해 사업에 차질이 생길까봐 걱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자칫 이것이 잘못되면 아세안의 배터리가 되겠다던 APG사업 자체가 어렵게 될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 기업인 SK건설이 시공사이기 때문에 이 사안에 대해서는 국내 언론들도 관심을 가지고 사고 원인과 향후 전망에 대한 기사들을 계속해서 내고 있는 것 같다.

언론 기사들에 따르면 라오스 현지 분위기는 이 사안에 대해 철저히 통제되어 쉽게 접근이 어렵다고 한다. 과거에 비해 상당히 개방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내부 통제가 철저한 공산당 1당 독재 체제의 라오스이기 때문에 이 사안에 대해서도 언론을 통제하고 최대한 신속하게 사태를 수습하려 할 것은 예상되는 일이다.

현장을 직접 취재한 언론(시사IN)에 따르면, 수많은 마을들이 피해를 입었지만 그 가운데 라오스 정부는 6개 마을(타생짠, 힌랏, 반마이, 타힌, 싸멍, 테냐이)을 ‘완전 파괴’로 분류하였다고 한다. 특히 취재진이 직접 방문한 ‘타생짠’이라는 마을은 댐 붕괴 당시 5억 톤의 물이 가장 먼저 덮친 곳으로 현재는 마을의 흔적은 물론 접근조차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한다.

삶의 터전은 물론 살던 마을 자체가 사라져 버리는 재난을 당한 이들을 위해 어쨌든 연관과 책임이 있는 SK건설은 최태원 회장이 구호금 1,000만 달러(약 112억원)을 기탁했고, 한국 정부도 라오스 정부에 117만 달러(약 13억원) 상당의 구호를 제공했으며, 그 중 50만 달러(약 6억원)는 현금으로 지급했다.

이와 같은 구호금에 대해 현장의 이재민들은 “가족당 보상으로 최소 1,000달러(약 112만원)을 받아야 한다. 라오스 정부에 돈을 주면 우리에게까지 내려오지 않는다. 한국 정부와 SK건설에 피해자들에게 직접 주어야 한다고 전해 달라.”라고 취재진에게 요청했다고 한다. 우리 정부나 SK건설의 이 사고에 대한 책임은 라오스 정부는 물론 직접 불의의 피해를 당한 라오스 이재민들에게 위로와 회복을 위한 선한 도움으로 직접 전달되기를 바라본다.

라오스 댐 붕괴 사고지점 및 피해지역 지도/출처: 시사IN(www.sisain.co.kr)

당장의 이재민 대피소 마련과 기본적인 생활은 가능해졌지만, 완전히 사라진 마을들도 있는 상황에 현지 복구는 오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공식 발표에 따르더라도 백여 명의 실종자들이 있는 상황인데, 실제로는 그보다 훨씬 더 많음을 감안하면 실종된 이들에 대한 수습과 사랑하는 가족을 삽시간에 잃어버린 유가족들의 상한 마음들은 어떻게 치유할 수 있을지 참 암담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라오스 정부의 언론 통제 때문에 현지의 상황이 잘 전달되지도 않는 상황이라 국내에서는 그저 지나간 해외 토픽 정도로 기억되고 있을지 모르겠다. 비단 우리나라 기업의 연관성 때문만이 아니라 우리가 품고 기도하던 미전도 종족이며, 우리가 복음 전해야 할 책임이 있는 나라와 그 사람들이기에 그들의 아픔을 위로해 주시고, 속히 그들의 삶이 회복되도록 이들을 위한 기도가 절실히 필요하다.

더욱이 이 사고로 복음을 들을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죽어간 이 땅의 사람들을 생각하며, 다시 이러한 일이 반복되지 않아야 하기에 적어도 남아 있는 이들에게는 속히 복음이 증거되도록 라오스의 선교사들과 현지 성도들을 위해 기도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처럼 큰 상처를 남긴 사고가 발생하였으나, 이를 계기로 라오스 정부가 국가만을 위한 APG 사업 강행이 아니라 국민과 그들의 삶을 돌아보며 안전을 담보한 내실 있는 국가발전을 추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기도할 부담을 느낀다.  글 | 강호석(SIReNer)

 *위 자료의 저작권은 UPMA에 있으므로, 인용하여 사용하실 경우 반드시 출처를 남겨 주십시오.. 

디지털 저널
CAS
---